지속 가능한(sustainable) 사역은 지속 가능한 사람들로부터 초래된다
지속 가능성이라는 단어가 많은 상황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땅이 내어줄 수 있는 것과 땅이 옥토로 존재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 사이에 균형을 이루고 있는 농장에서 이 단어를 사용한다. 이 단어는 또한 견고한 경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자원들을 갖추고 있는 공동체들을 일컬을 때 사용된다. 재생 가능한 에어지 자원들 또한 지속 가능성이라는 단어로 표현된다.
우리는 또한 교회에 대해 말할 때에도 이 단어를 사용한다. 개체 교회는 그 교회가 하는 사역 그리고 정직히 말해서 그 교회의 사역자들을 후원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들을 지니고 있을 때 지속 가능한 교회로 여겨진다. 나는 여기에서 약간 다른 정의를 …
Mi nieto está en la edad donde los mío y míos son bastante resonantes. También está muy comprometido en compartir todo lo que él este comiendo con todos los demás. Puede ser un momento tierno de aprendizaje, si no le importa la mano pegajosa que le esté ofreciendo galletas de peces.
En Lucas 10, tenemos a un adulto tratando de aprender esta lección. Un abogado se pone de pie y pregunta « ¿qué debo hacer para recibir la vida eterna?» Jesús le pregunta que es lo que dice la ley y el hombre responde correctamente. Después viene la gran pregunta: …
내 손자는 아직 어려서 “나의 그리고 내 것”(My and mine)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그는 또한 그가 먹는 것은 어떤 것이라도 다른 사람들과 반드시 나누어 먹으려 한다. 골드피시 크래커를 건네주는 끈적끈적한 손을 개의치 않는다면, 당신은 매우 소중한 교훈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누가복음 10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교훈을 배우려는 성인을 볼 수 있다. 한 율법사가 일어나서 “영생을 얻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해야 합니까?”라고 질문한다. 예수님은 율법에 무엇이라고 기록되어 있느냐고 물으시며, 그 사람은 정답을 말한다. 그 다음에 큰 질문이 이어진다. “누가 나의 이웃입니까?”
나는 지난 12개월 동안 매달 썼던 칼럼을 살펴보면서 그것들 중 4분의 1이 인종차별에 관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사건은 사우쓰 캐롤라이나에 위치한Emanuel African Methodist Episcopal (AME) Church (Mother Emanuel) in Charleston에서 발생했다. Mother Emanuel은 폭탄을 맞고 불태움을 당하고 총격을 받고 손상된 많은 많은 흑인 교회들의 목록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Al leer los artículos mensuales que he escrito durante los últimos doce meses, me doy cuenta que una cuarta parte de ellos han hablado sobre el racismo. El último incidente público fue el de los asesinatos en la Iglesia Episcopal Metodista Africana Emanuel (AME) (Madre Emanuel) en Charleston, Carolina del Sur. Madre Emanuel es una iglesia más en una larga lista trágica de iglesias afroamericanas que han sido bombardeadas, quemadas, tiroteadas, y vandalizadas.
La Confesión de 1967 dice:
La iglesia se dispersa para servir a Dios en donde quiera que se encuentren sus miembros, en el trabajo o en el recreo, en privado o en la vida social. Sus oraciones y estudio de la Biblia forman parte del culto y reflexión teológica de la iglesia. Su testimonio es la actividad evangelizadora de la iglesia. Su acción diaria en el mundo representa a la iglesia en misión hacia el mundo. La calidad de sus relaciones con otras personas es la medida de la fidelidad de la iglesia. (Libro de Confesiones, 9.37, …
Al parecer la primavera llego después de todo, aunque parecía imposible incluso hasta el mismo veintidós de marzo. Allá en Tennessee, podíamos tener una serie de pequeños inviernos, pero suavizábamos el golpe con ponerle nombres a la temporada donde empieza la primavera y el frio se niega a despedirse. En Carolina del Sur, mi yerno ya ha cortado el césped. En Chicago, todavía están quitando la nieve. A pesar de estar en la misma estación, no la sentimos de la misma manera.
Esto es una metáfora apta para la IP (EE. UU.). Estamos en la misma estación de nuestra vida …
크고도 위대한 경이로움
그래디 파슨스
심지어 3월 22일에도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지만, 결국 봄이 다가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저 너머 테네시에서는 덜 춥기는 하지만 여전히 겨울 날씨가 지속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추위를 꽃샘 추위라 부름으로 추위를 달랜다. 싸우쓰 캐롤라이나에 있는 나의 사위는 벌써 자기 마당의 잔듸를 깎았다. 시카고에서는 여전히 눈을 치우고 있는데 말이다. 우리는 같은 계절 안에 있지만 같은 경험을 하고 있지는 않다.
이것은 미국 장로교를 위한 적절한 비유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는 교회 생활이라는 면에서 같은 계절 안에 있지만 같은 경험을 하고 있지는 않다. 어떤 사람들은 매우 행복해 하고 있지만, 또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
Hay un periodo antes de regresar a nuestro tiempo rutinario, que va desde el Bautismo del Señor hasta el Miércoles de Ceniza en el calendario eclesiástico. Durante el tiempo normal, todavía hay muchas ocasiones extraordinarias. Existe esta sensación general inclinada al Año Nuevo donde nos formulamos un montón de preguntas ordinarias durante estos días. Preguntas tales como « ¿cuál es el orden correcto de los informes del comité en una reunión de la congregación?», o « ¿Qué es mejor; un órgano de tubos o eléctrico?» O, « ¿puedo contar los Smiths en nuestro informe estadístico a pesar de que nunca …
질문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들을 열어준다
교회력에서 우리는 예수님께서 세례 받으신 날과 재의 수요일 사이에 특별한 것이 없는 평범한 날들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러한 평범한 시간들 속에도 여전히 수많은 특별한 사건들이 있다. 이 때에야 비로소 새해로 접어들고 있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하게 된다. 이 기간동안에 우리는 수많은 일반적인 질문들을 받는다: “공동 의회에서 위원회들은 어떠한 질서에 따라 보고를 해야 합니까?” “파이프 오르간이 더 좋습니까, 아니면 전자 오르간이 더 좋습니까?” 혹은 “스미쓰 가족이 한 번도 예배에 참석한 적이 없는데 우리 통계 보고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까?”
교회가 큰 질문들로 씨름하고 있는 계절에는 이러한 질문들이 중요하지 않게 보일 수 있다. 교회는 크고 작은 질문들로 씨름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